안녕하세요 서울부부입니다
오늘은 '노동절로 법정 명칭이 변경될까?'에 대해서 현재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.
도움이 되셨다면, 하트♥
궁금하신 점이나 소통을 원하시는 분은 [댓글] 남기기
계속해서 소통을 원하시는 분은 [구독하기] 부탁드려요^^
관련 업무 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
아직 노동절로 법정 명칭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.
[동의 의견 SIDE]
1.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(근로자의날법) 전부 개정안 발의 by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
- 취지 : 일제강점기부터 사용돼 온 근로라는 용어는 ‘부지런히 일한다’는 뜻으로 국가 통제 의미가 담겨 있다며
‘노동’이라는 가치중립적 용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.
2. 한국노총-민주당 고위급 정책협의회
2021.03.08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
- "5월1일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꾸는 명칭 변경을 이번 3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했으면 한다"고 밝혔습니다.
- 3월 임시 국회 처리 기대
"이 법이 3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돼 올해 5월1일 `근로자의 날`은 `근로자의 날`이 아니라
`노동절`로 우리 노동자들이 함께 맞이할 수 있길 바란다"고 기대했습니다.
[반대 혹은 이의제기 SIDE]
1. '근로'는 우리말
- '근로'라는 단어는 조선왕조실록에도 나오는 한자어 우리말이라고 합니다.
- 조선왕조실록 세종대왕편을 검색하면 모두 50번 가량의 '근로'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.
2. '근로'는 통제적 의미가 아님
- '근로'라는 단어에 국가의 통제적 의미가 담겨있다는 내용은 없다고 합니다.
3. '노동'은 가치중립적인 단어가 아님
- 북한에서 사용하는 '로동(노동)'과 통일하기 위함이 아닌가하는 주장이 있습니다.
- 위와 같은 이유로 '노동절'로 바꾸자는 것이 아닌가하는 주장이 있습니다.
- 실제로 현재 북한에서 5월 1일은 '로동절' 입니다. (나무위키 검색 참고)
- 오히려 노동은 일본어 사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(노동부, 노동조합, 노동권 등의 일본어)
'업무&비즈니스 > 인사이슈 ISS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상세보기] 7월5일부터 시행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안 발표 (완화안, 카페, 식당, 목욕탕, 노래방, 노래연습장, 유흥시설, 클럽, 나이트, 헌팅포차, 감성주점 등 기준) (0) | 2021.06.16 |
---|---|
21년 올해 최대 6일 더 쉰다? 빨간날(대체공휴일) 확대 법안 6월 국회서 통과 추진 전망 (0) | 2021.06.04 |
나도 코로나 19 백신 휴가 최대 2일 무조건 받을 수 있나? 유급휴가? 병가? 연차? 어떻게받나?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모더나 예방접종? (0) | 2021.06.02 |
[인사이슈] 법률안 발의 - 주 4일 근무제 (주4일제) (0) | 2021.04.15 |
[인사이슈] 행정명령 -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따른 과태료 부과 기준 안내 (0) | 2021.04.12 |
댓글